현재까지의 진행 사항

isc프로젝트는 현재 포트 등록 및 장비 별 필터링, 와이파이 등록 등을 모두 마쳐 드디어 우리의 최종 목표인 유저들의 쉬운 코딩 돕기를 위한 준비를 완료한 상태이다.
기계 테스팅
아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서버에서도 제대로된 정보를 받아오는 중이다.
중간에 장비를 추가했더니 1번 사진과는 서버에서 받아오는 사진이 살짝 달라졌다. 서버 테스트

통신방식

IOT에서 자주 쓰이는 통신이 몇가지 있는데, 우리 프로젝트에서는 mqtt방식을 사용하기로 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니나농님 블로그에 좀 더 자세히 나와있는데 요약하자면 파이어베이스는 비싸고, 기존에 생각해둔 tcp방식의 경우 현장 상황의 특성상 서브넷 문제 등도 있음+이참에 mqtt도 배워보자라는 마음으로 이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mqtt통신이란

mqtt통신 구조 mqtt통신의 특징 중 하나가 안정성신뢰성이다.
안정성의 경우 서비스 품질 레벨에 따라 브로커에 메시지를 저장해두고 재전송을 하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이며, 신뢰성의 경우 tls/ssl을 브로커에서 적용하면 클라이언트는 그 규칙을 따라 보안서를 검증하고 인증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서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브로커를 통하는 특수한 통신 방식 덕분에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가능한 것은 물론,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 게시물에서는 mqtt통신을 aws로 구현하는 것을 알아보도록 하자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