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isc컨트롤러 프로젝트

기존 isc컨트롤러 프로젝트 소개
다시 isc컨트롤러 프로젝트를 수정하게 된 이유는, 대부분의 부분의 일들 혼자 처리해야하는 이번 프로젝트의 특성상(물론 제일 코어가 되는 파싱 등은 함께 일하는 니나농님의 희생이 따르지만) 나의 능력 밖의 상황이 너무 많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js도 초보 css는 일자 무식에 가까운 상황+사실 스프링으로도 이정도 규모의 프로젝트는 처음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에 프론트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건 지나친 에너지 낭비라는 생각이 들어 오랜 기간의 상의 이후 전체적인 사용 기술 스택을 바꾸게 되었다.

지원기능

지원기능은 크게 프로젝트 관련/장비관련(포트 포함)/방 관련/시나리오 작성이 있다.

진행 상황(완료)

  • 로그인 및 홈화면
    • 로그인 여부에 따라 화면이 바뀌며, 로그인 전에는 회원가입과 로그인창+서비스 안내화면을 보여준다.
    • 로그인이된 회원이라면 전체 프로젝트를 보여주고, 로그아웃을 사이드바에 띄워준다.
  • 프로젝트 세팅
    • 로그인이 완료된 회원에 한해서 사용이 가능한 페이지로, 프로젝트의 설정 및 프로젝트 조회 등등 세부적인 프로젝트에 대한 부분을 담당하는 곳이다.

      진행 상황(진행중)

  • 전체 장비 설정
    • 프로젝트별 장비 설정
      모든 장비 설정은 크게 두 종류로 프로젝트별 장비 설정과 세부적인 방에 따른 장비 설정이 있다.
      이렇게 들으면 아니 도대체 왜 프로젝트와 방에서 사용하는 장비가 다르고 세팅이 바뀌냐 할 수 있는데, 이는 방탈출 카페의 밀어내기 테마의 특성 때문이며 장비등록을 이렇게 따로 해두어야 이후 시나리오 작성 등을 할 때에 관리가 용이하다.
  • 포트 설정(전체 포트)
    • 위에 설정한 장비들을 어떤 포트에 어떻게 등록시키는가에 대한 페이지로 장치관리자를 연상시키면 이해가 쉽다.
  • 방 설정
    • 모든 프로젝트 즉 테마들은 방을 가지게 된다.
      방은 크게 방 이름과 사용할 프로젝트(테마)를 받으며, 이후 전체 장비설정 및 전체 포트설정에서 등록한 애들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 현재 확실하게 정해진 것은 방 별 장비 설정까지로 방 별 포트 및 시나리오 작성은 진행 예정이다.

      진행 상황(진행 예정)

  • 방 별 포트
  • 시나리오 작성

    기술 스택

    기술스택을 소개하기 이전에, 우선 첫번째 게시물과 비교하여 왜 이렇게 많은 변화가 있었는지를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현재 보드를 납품중인 업체에게 프로그램을 납품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중이기 때문에, 실제 유저들이 돈을 받고 써도 문제가 없을 정도의 퀄리티가 나와주어야하는데 예외처리와 같이 코딩 이외의 것들만으로도 나에겐 난이도가 높은 일이었다.
    그래서 IT적인 사고와 같은 것은 직접 기를 수 있도록 하되, 지금 단계의 나에게는 지나친 것들(이를테면 ui적인 스트레스)를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기술스택을 많이 변경하게 되었다.

    사용 기술 스택

  • 파이어베이스
    • 클라우드 스토어
    • 로그인을 위한 파이어베이스 인증
  • 프론트엔드
    • 플러터(sidebarX/stepper등 편리한 것들이 많아서 화면을 그리는 스트레스를 훨씬 줄여줌)
    • 플러터의 getX
  • 백엔드
    • Flask

댓글남기기